맨위로가기

평원군 (전국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원군은 전국 시대 조나라의 왕족으로, 뛰어난 식객 관리와 외교적 수완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첩을 죽여 식객에게 사과하는 일화로 시작하여, 모수(毛遂)를 초나라에 데려가 합종을 성사시키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또한, 한(韓)나라의 상당군(上黨郡)을 조나라에 귀속시키려 한 일로 장평 전투를 야기하고, 위기 상황에서 재산을 털어 백성을 구제하기도 했다. 신릉군과의 정치적 동지 관계를 유지했으며, 위(魏)나라 재상 위제(魏齊)를 보호하려다 실패하기도 했다. 순자는 평원군을 높이 평가했지만, 사마천은 상당군 획득으로 인한 장평 전투 패배를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1년 사망 - 현문왕
    현문왕은 기씨가 세운 번조선을 다스린 왕들을 지칭하며, 번조선은 기원전 323년부터 기원전 194년까지 존속하며 여러 왕을 거쳤으나 연나라 침략으로 쇠퇴하고 기준 왕 때 위만에게 멸망했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열자
    열자는 전국 시대의 제자백가 철학자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저작과 생애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인해 가상의 인물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혜시
    혜시는 전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동일성과 차이의 상대성을 논하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쳤고, 장자와 교류하며 서로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위나라 혜왕과 양왕을 섬겨 재상을 지냈다.
평원군 (전국 시대)
기본 정보
이름조승
작위평원군
영(嬴)
조(趙)
승(勝)
생애
출생기원전 308년경
사망기원전 251년
아버지조 무령왕
배우자위 공자의 누이

2. 약력

평원군은 첩이 자신의 식객 중 한 명이 다리를 저는 것을 보고 비웃자, 식객의 요청으로 첩을 죽이고 사과한 일이 있었다. 이 일로 식객들이 떠나자 평원군은 첩을 죽여 식객에게 사과했고, 이후 다시 식객들이 모여들었다.

기원전 259년, 평원군은 조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초나라로 가던 중, 모수라는 식객을 만나게 되었다. 평원군은 모수의 능력에 대해 의문을 가졌지만, 모수는 자신을 송곳에 비유하며 설득했다.("'''낭중지추'''") 결국 평원군은 모수를 데려갔고, 모수는 초나라 고열왕에게 합종을 설득하여 성공시켰다.

기원전 258년, 조나라가 포위되었을 때, 이동이라는 병사가 평원군에게 백성을 위해 사재를 풀 것을 건의했다. 평원군은 이를 받아들여 재산을 내놓고, 부인들에게도 노동을 시켰다. 이에 백성들의 사기가 올랐고, 이동은 결사대를 조직하여 진나라 군대에 맞서 싸워 시간을 벌었다.

신릉군이 노름꾼, 간장 빚는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평원군이 비웃자, 신릉군은 평원군을 겉모습만 번지르르하다고 비판했다. 이 일로 평원군을 떠나 신릉군에게 가는 식객들이 늘어났다.

평원군은 기원전 266년 위(魏)의 재상 위제(魏齊)가 진(秦)의 재상 범수(范雎)와 대립하다 위나라에서 도망쳐 오자, 그를 숨겨 보호하였다. 진의 소양왕(昭襄王)은 범수가 위제에게 복수할 수 있도록 평원군을 진으로 초청하여 위제를 죽이라고 협박했지만, 평원군은 이를 거절했다. 소양왕은 평원군을 억류하고 조나라 효성왕을 협박했고, 효성왕은 위제를 체포하려 했다. 위제는 조나라 재상 우경(虞卿)과 함께 도망쳐 신릉군(信陵君)에게 의탁하려 했으나, 신릉군이 만나기를 주저한다는 소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평원군은 귀국할 수 있었다.

기원전 263년, 한나라가 진나라의 공격으로 영토를 잃고, 한나라 북쪽 영토였던 상당군(上黨郡)이 고립되었다. 상당은 조나라에 귀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효성왕은 신하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평양군(平陽君)은 귀부를 받아들였다가는 진나라와 전쟁이 일어난다며 반대했지만, 평원군은 「아주 큰 이득이 될 것이다」라며 적극적으로 찬성하여, 결국 효성왕은 상당을 조나라 영토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 일로 진나라의 분노를 사, 기원전 260년 진나라 장군 백기(白起)가 이끄는 군대와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장평 전투) 이 전투에서 조나라는 45만이라는 병사를 잃고 약화되었다.

평원군은 기원전 259년 진나라 군대가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포위하자, 구원 요청을 위해 초나라로 향했다. 이때 식객 모수(毛遂)가 동행을 자청했는데, 평원군은 처음에 "현명한 사람이라 함은 송곳을 주머니 속에 넣어둔 것과 같으니, 반드시 끝이 주머니를 찢고 삐져나올 것이다."라며 거절했지만, 모수는 "저를 일찍 주머니 속에 넣어주셨더라면 끝은 고사하고 지금쯤은 자루까지 밖으로 내밀어 보였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대답이 마음에 들었던 평원군은 모수를 데리고 갔다. 이것이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이다.

평원군은 초나라 고열왕(考烈王)에게 합종(合縱, 동맹)을 제의했지만, 초나라는 진나라의 위협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때 모수는 칼을 쥐고 고열왕 앞에 서서 "백기는 초의 수도를 불사르고 초의 조선(祖先)들을 욕보였습니다. 합종은 조를 위해서가 아니라 초를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라고 설득하여 고열왕은 마침내 합종 제의를 받아들였다. 평원군은 귀국한 뒤 모수를 상객(上客)으로 모셨다.

기원전 258년, 위나라는 조나라에 원병을 보냈지만 도중에 머무르게 하면서 정세를 관찰했다. 평원군은 신릉군(信陵君)의 누나를 아내로 삼고 있었기에 신릉군에게 "누나를 버리시려는가?"라는 편지를 보냈고, 신릉군은 이에 대답해 위의 장군을 죽이고 군을 빼앗아 조나라에 원병을 냈다. 초나라에서도 맹약에 따라 원병이 보내졌다.

한편, 한단은 오랜 포위로 백성들이 굶주려 자식을 서로 바꾸어 죽여서 먹는 등 위급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평원군 등 귀족들은 변함없이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렸고, 이동(李同)이라는 병사가 평원군에게 "성이 무너지면 당신도 무사하지 못할 것입니다. 사재를 모두 내놓으셔야 합니다."라고 진언하였다. 이에 평원군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내놓고 마음대로 가져가도 좋다고 선언했고, 시종을 시켜 식사를 제공하는 등의 노동을 하게 했다.

이에 성안의 사기는 크게 올라 생기가 돌게 되었고, 이동은 원병이 올 때까지 버틸 특공대를 모아 자신이 이끌겠다고 평원군에게 제안, 평원군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동은 모집한 3천 병사를 거느리고 성밖의 진군에 공격을 가했고, 죽음을 각오한 공격 앞에 진군은 후퇴했다. 마침 원병이 도착하여 진군을 철수시키는데 성공했다. 특공대를 지휘했던 이동은 전사했지만, 전공이 인정되어 그 아버지가 이후(李侯)로 봉해진다.

평원군은 신릉군(信陵君)과 인척 관계이자 정치적 동지였다. 기원전 266년 위(魏)의 재상 위제(魏齊)가 진(秦)의 재상 범저(范雎)와 대립하다 평원군에게 의탁하자, 평원군은 위재를 숨겨주었다. 소양왕은 평원군을 진으로 초청해 위재를 죽이라고 협박했지만, 평원군은 거절했다. 효성왕이 위재를 체포하려 하자 위재는 신릉군에게 의지하려 했으나, 신릉군이 주저한다는 말을 듣고 자결했다.

기원전 258년, 위나라가 조나라에 원군을 보냈지만 진나라의 압력으로 주저하자, 평원군은 신릉군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신릉군은 위나라 장군을 죽이고 군대를 이끌어 조나라를 구원했다.

신릉군이 조나라에 머물면서 노름꾼, 간장 빚는 사람과 교류하자, 평원군은 이를 비난했다. 신릉군은 평원군이 겉모습만 본다고 화를 냈고, 이후 많은 식객들이 평원군을 떠나 신릉군에게 갔다.

2. 1. 식객과의 일화

평원군은 첩이 자신의 식객 중 한 명이 다리를 저는 것을 보고 비웃자, 식객의 요청으로 첩을 죽이고 사과한 일이 있었다. 이 일로 식객들이 떠나자 평원군은 첩을 죽여 식객에게 사과했고, 이후 다시 식객들이 모여들었다.

기원전 259년, 평원군은 조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초나라로 가던 중, 모수라는 식객을 만나게 되었다. 평원군은 모수의 능력에 대해 의문을 가졌지만, 모수는 자신을 송곳에 비유하며 설득했다.("'''낭중지추'''") 결국 평원군은 모수를 데려갔고, 모수는 초나라 고열왕에게 합종을 설득하여 성공시켰다.

기원전 258년, 조나라가 포위되었을 때, 이동이라는 병사가 평원군에게 백성을 위해 사재를 풀 것을 건의했다. 평원군은 이를 받아들여 재산을 내놓고, 부인들에게도 노동을 시켰다. 이에 백성들의 사기가 올랐고, 이동은 결사대를 조직하여 진나라 군대에 맞서 싸워 시간을 벌었다.

신릉군이 노름꾼, 간장 빚는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평원군이 비웃자, 신릉군은 평원군을 겉만 번지르르하다고 비판했다. 이 일로 평원군을 떠나 신릉군에게 가는 식객들이 늘어났다.

2. 2. 위재(魏齊) 구명과 실패

평원군은 기원전 266년 위(魏)의 재상 위제(魏齊)가 진(秦)의 재상 범수(范雎)와 대립하다 위나라에서 도망쳐 오자, 그를 숨겨 보호하였다. 진의 소양왕(昭襄王)은 범수가 위제에게 복수할 수 있도록 평원군을 진으로 초청하여 위제를 죽이라고 협박했지만, 평원군은 이를 거절했다. 소양왕은 평원군을 억류하고 조나라 효성왕을 협박했고, 효성왕은 위제를 체포하려 했다. 위제는 조나라 재상 우경(虞卿)과 함께 도망쳐 신릉군(信陵君)에게 의탁하려 했으나, 신릉군이 만나기를 주저한다는 소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평원군은 귀국할 수 있었다.

2. 3. 상당(上黨) 획득과 장평대전(長平大戰)

기원전 263년, 한나라가 진나라의 공격으로 영토를 잃고, 한나라 북쪽 영토였던 상당군(上黨郡)이 고립되었다. 상당은 조나라에 귀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효성왕은 신하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평양군(平陽君)은 귀부를 받아들였다가는 진나라와 전쟁이 일어난다며 반대했지만, 평원군은 「아주 큰 이득이 될 것이다」라며 적극적으로 찬성하여, 결국 효성왕은 상당을 조나라 영토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 일로 진나라의 분노를 사, 기원전 260년 진나라 장군 백기(白起)가 이끄는 군대와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장평 전투) 이 전투에서 조나라는 45만이라는 병사를 잃고 약화되었다.

2. 4. 한단(邯鄲) 포위와 구원

평원군은 기원전 259년 진나라 군대가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포위하자, 구원 요청을 위해 초나라로 향했다. 이때 식객 모수(毛遂)가 동행을 자청했는데, 평원군은 처음에 "현명한 사람이라 함은 송곳을 주머니 속에 넣어둔 것과 같으니, 반드시 끝이 주머니를 찢고 삐져나올 것이다."라며 거절했지만, 모수는 "저를 일찍 주머니 속에 넣어주셨더라면 끝은 고사하고 지금쯤은 자루까지 밖으로 내밀어 보였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대답이 마음에 들었던 평원군은 모수를 데리고 갔다. 이것이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이다.

평원군은 초나라 고열왕(考烈王)에게 합종(合縱, 동맹)을 제의했지만, 초나라는 진나라의 위협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때 모수는 칼을 쥐고 고열왕 앞에 서서 "백기는 초의 수도를 불사르고 초의 조선(祖先)들을 욕보였습니다. 합종은 조를 위해서가 아니라 초를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라고 설득하여 고열왕은 마침내 합종 제의를 받아들였다. 평원군은 귀국한 뒤 모수를 상객(上客)으로 모셨다.

기원전 258년, 위나라는 조나라에 원병을 보냈지만 도중에 머무르게 하면서 정세를 관찰했다. 평원군은 신릉군(信陵君)의 누나를 아내로 삼고 있었기에 신릉군에게 "누나를 버리시려는가?"라는 편지를 보냈고, 신릉군은 이에 대답해 위의 장군을 죽이고 군을 빼앗아 조나라에 원병을 냈다. 초나라에서도 맹약에 따라 원병이 보내졌다.

한편, 한단은 오랜 포위로 백성들이 굶주려 자식을 서로 바꾸어 죽여서 먹는 등 위급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평원군 등 귀족들은 변함없이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렸고, 이동(李同)이라는 병사가 평원군에게 "성이 무너지면 당신도 무사하지 못할 것입니다. 사재를 모두 내놓으셔야 합니다."라고 진언하였다. 이에 평원군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내놓고 마음대로 가져가도 좋다고 선언했고, 시종을 시켜 식사를 제공하는 등의 노동을 하게 했다.

이에 성안의 사기는 크게 올라 생기가 돌게 되었고, 이동은 원병이 올 때까지 버틸 특공대를 모아 자신이 이끌겠다고 평원군에게 제안, 평원군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동은 모집한 3천 병사를 거느리고 성밖의 진군에 공격을 가했고, 죽음을 각오한 공격 앞에 진군은 후퇴했다. 마침 원병이 도착하여 진군을 철수시키는데 성공한다. 특공대를 지휘했던 이동은 전사했지만, 전공이 인정되어 그 아버지가 이후(李侯)로 봉해진다.

2. 5. 신릉군과의 관계

평원군은 신릉군(信陵君)과 인척 관계이자 정치적 동지였다. 기원전 266년 위(魏)의 재상 위제(魏齊)가 진(秦)의 재상 범저(范雎)와 대립하다 평원군에게 의탁하자, 평원군은 위재를 숨겨주었다. 소양왕은 평원군을 진으로 초청해 위재를 죽이라고 협박했지만, 평원군은 거절했다. 효성왕이 위재를 체포하려 하자 위재는 신릉군에게 의지하려 했으나, 신릉군이 주저한다는 말을 듣고 자결했다.

기원전 258년, 위나라가 조나라에 원군을 보냈지만 진나라의 압력으로 주저하자, 평원군은 신릉군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신릉군은 위나라 장군을 죽이고 군대를 이끌어 조나라를 구원했다.

신릉군이 조나라에 머물면서 노름꾼, 간장 빚는 사람과 교류하자, 평원군은 이를 비난했다. 신릉군은 평원군이 겉모습만 본다고 화를 냈고, 이후 많은 식객들이 평원군을 떠나 신릉군에게 갔다.

3. 사망

기원전 251년에 평원군은 사망하였다. 자손이 평원군을 이었지만, 진이 조를 멸망시킨 뒤에는 그마저 끊어지고 말았다.

4. 평가

순자에서 순자는 평원군을 "가장 큰 재앙에서 국가를 구하고, 가장 큰 위험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능력으로 높이 평가하며, 그의 행동을 "진정한 조력"이라고 칭찬했다.

사기에서 사마천은 평원군이 한나라로부터 상당군을 받은 일로 인해 조나라가 장평 전투에서 에게 참패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하지만 역사가 교주는 사마천의 평가를 거부하고, 패배의 책임을 조 효성왕에게 돌렸다.

5. 한국 현대사와의 관계

참조

[1] wikisource 史記/卷076#平原君
[2] wikisource 史記/卷081#附 趙奢
[3] wikisource 史記/卷079#范睢
[4] wikisource 史記/卷043
[5] wikisource 史記/卷073#白起
[6] wikisource 戰國策/卷18#秦王謂公子他
[7] 서적 史記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8] wikisource 史記/卷077#信陵君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